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우스다코타의 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상원의원 선거구
파일:미국 상원 문장.svg
사우스다코타
South Dakota
||
인구909,824명 (2022)
상원
의원
클래스 2

마이크 라운즈
클래스 3

존 튠
코드SD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하원의원 선거구
파일:미국 하원 문장.svg
사우스다코타 광역구
South Dakota's at-large congressional district
||
인구909,824명 (2022)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사우스다코타 주 전역
하원의원

더스티 존슨
중위가구소득$69,728
도농 비율도시55.8%
농촌44.2%
코드SD-AT
Cook PVIR+16
1. 개요
2. 상세
3. 역대 상원의원
4. 역대 하원의원
5. 역대 선거결과
5.1. 상원 클래스 2
5.2. 상원 클래스 3
5.2.1. 1960년
5.2.2. 1968년
5.2.3. 1974년
5.2.4. 1980년
5.2.5. 1986년
5.2.6. 1992년
5.2.8. 2004년
5.3. 하원 선거구
6. 여담


1. 개요[편집]


사우스다코타 주 전체를 관할하는 미국의 상/하원 의원 선거구. 상원 2명과 하원 1명으로 대통령 선거인단 3명을 선출한다.

현재 지역구 상원의원은 마이크 라운즈존 튠, 하원의원은 더스티 존슨으로, 3명 모두 공화당 소속이다.


2. 상세[편집]


사우스다코타의 유권자 구성
인종 구성백인 (82.9%)
히스패닉 (3.4%)
아프리카계 (1.7%)
아시아계 (1.3%)
혼혈 및 기타 (10.8%)
등록 유권자

296,463 (49.65%)


151,415 (25.34%)


2,801 (0.01%)

무소속

/기타 145,004 (24.29%)
주 역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상원의원에 당선된 사람이 6명 밖에 없을 정도로 예로부터 공화당 강세 지역으로 꼽혔다. 사우스다코타는 역사적으로나 지금으로서나 농업이나 임업 외에는 별다른 수입원이 없는 전형적인 농촌 주인데, 그러다보니 미국 전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공화당 텃밭으로 꼽힌다.

그러나 농촌 주라는 특징 때문에 19세기 후반 인민주의 운동의 거점 중 하나였으며, 이 흔적이 남아서 의외로 민주당도 이 지역구에서 선전한 적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후보이자 민주당 내 진보좌익 계열의 아버지로 불리는 조지 맥거번이 이곳에서 3선 상원의원을 지냈다. 또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톰 대슐도 이곳이 지역구였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오바마가 45%나 득표하며 53%에 그친 매케인을 따라잡는 등 중부 대평원 지대에서는 그나마 민주당이 해볼만한 으로 여겨졌다.

다만, 2008년 이후로는 점점 공화당과 민주당의 표세가 벌어지고 있고, 주의 민주당 표심을 끌어올릴 대도시나 소수인종[1] 인구가 부족해, 2010년~2020년대 들어 공화당 표심이 더욱 강해지는 추세이다.


3. 역대 상원의원[편집]



4. 역대 하원의원[편집]



5. 역대 선거결과[편집]



5.1. 상원 클래스 2[편집]



5.2. 상원 클래스 3[편집]



5.2.1. 1960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조지 맥거번
(George McGovern)
127,4581위


50.12%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조지프 H. 버텀
(Joseph H. Bottum)
126,8612위


49.88%낙선
총 투표수290,622


탈환

5.2.2. 1968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조지 맥거번
(George McGovern)
158,9611위


56.79%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아치 M. 거버드
(Archie M. Gubbrud)
120,9512위


43.21%낙선
총 투표수279,912


유지

5.2.3. 1974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조지 맥거번
(George McGovern)
147,9291위


53.40%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레오 K. 소스네스
(Leo K. Thorsness)
130,9552위


46.96%낙선
총 투표수278,884


유지

5.2.4. 1980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제임스 앱드너
(James Abdnor)
190,5941위


58.20%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조지 맥거번
(George McGovern)
129,0182위


39.40%낙선
-웨인 피터슨
(Wayne Peterson)
7,8663위

무소속

2.40%낙선
총 투표수327,478


탈환

5.2.5. 1986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톰 대슐
(Tom Daschle)
152,6571위
51.60%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제임스 앱드너
(James Abdnor)
143,1732위
48.40%낙선
총 투표수295,830
탈환

5.2.6. 1992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톰 대슐
(Tom Daschle)
217,0951위
64.90%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샬린 하
(Charlene Haar)
108,7332위
32.51%낙선
파일:자유당(미국) 선거심볼.svg거스 허큘리스
(Gus Hercules)
4,3533위
1.30%낙선
-켄트 하이드
(Kent Hyde)
4,3144위
1.29%낙선
총 투표수334,495
유지

5.2.7. 1998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톰 대슐
(Tom Daschle)
162,8841위
62.14%당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론 슈미트
(Ron Schmidt)
95,4312위
36.41%낙선
파일:자유당(미국) 선거심볼.svg바이런 데일
(Byron Dale)
3,7963위
1.45%낙선
총 투표수262,111
유지


5.2.8. 2004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존 튠
(John Thune)
197,8481위
50.58%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톰 대슐
(Tom Daschle)
193,3402위
49.42%낙선
총 투표수391,188
탈환

5.2.9. 2010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존 튠[단독]
(John Thune)
227,9471위
100.00%당선
총 투표수227,947
유지

5.2.10. 2016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존 튠
(John Thune)
265,5161위
71.83%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제이 윌리엄스
(Jay Williams)
104,1402위
28.17%낙선
총 투표수369,656
유지

5.2.11. 2022년[편집]


사우스다코타 클래스 3
후보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존 튠
(John Thune)
242,3161위
69.63%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브라이언 벵스
(Brian Bengs)
91,0072위
26.15%낙선
파일:자유당(미국) 선거심볼.svg타마라 레스너
(Tamara Lesnar)
14,6973위
4.22%낙선
총 투표수348,020
유지

5.3. 하원 선거구[편집]



6. 여담[편집]




[1] 그나마 아메리카 원주민 인구가 많긴 하지만 10% 이하에 그친다.[단독] 단독 입후보